전체 프로그램 다운로드

[대한응급의학회/질병관리청 공동 주관] 응급의학과 손상예방관리]
1부. 응급실 기반 손상감시체계 Session director 박정호 (서울의대) /정유진 (전남의대)
응급의학은 손상 환자에 대한 진단 및 처치 뿐 아니라 손상 발생에 대한 감시, 예방 전략 수립을 위한 자료 생산 및 분석, 지역화체계 구축 등 손상예방관리 전반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손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0년 기존 질병관리본부가 질병관리청으로 승격되면서 손상예방관리과가 신설되었음. 본 세션에서는 2006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응급실 기반 손상감시체계의 현황 및 주요 손상 영역별 예방 전략을 살펴보고, 중증외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응급의료체계 각 영역별 치료 결과 향상을 위한 주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함.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개요 김경환 (인제의대 응급의학과)
운수사고에 의한 손상 특성 및 예방전략 이강현 (연세원주의대 응급의학과)
두부손상 특성 및 예방전략 이승철 (동국의대 응급의학과)
자살/중독에 의한 손상 특성 및 예방전략 조규종 (한림의대 응급의학과)
어린이 손상의 특성 및 예방전략 박준민 (인제의대 응급의학과)
2부. 중증외상 치료 결과 향상 방안 Session director 박정호 (서울의대) /정유진 (전남의대)
응급의학은 손상 환자에 대한 진단 및 처치 뿐 아니라 손상 발생에 대한 감시, 예방 전략 수립을 위한 자료 생산 및 분석, 지역화체계 구축 등 손상예방관리 전반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손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0년 기존 질병관리본부가 질병관리청으로 승격되면서 손상예방관리과가 신설되었음. 본 세션에서는 2006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응급실 기반 손상감시체계의 현황 및 주요 손상 영역별 예방 전략을 살펴보고, 중증외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응급의료체계 각 영역별 치료 결과 향상을 위한 주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함.
Experience setting up a dual room hybrid ER with in-house IR team 박찬용(서울의대 외상외과)
구급품질관리: 중증외상 구급대 이송병원 선정 홍원표 (소방청 119구급과 품질관리팀장)
지역화체계: 강원외상체계 구축 결과 김오현 (연세원주의대 응급의학과)
국가 외상체계 평가: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결과 정 주 (서울의대 응급의학과)
국가손상감시체계 현황 및 발전방안 권상희 (질병관리청 손상예방관리과 과장)
[Special lectures III]
COVID-19 Session director 조영순 (순천향의대)
SARS-CoV-2 코로나바이러스와 COVID-19 판데믹의 병인, 진단법, 백신과 관련해서 과학자로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토론해 보고자 합니다.
SARS-CoV-2 Coronavirus and “COVID-19” Pandemic: Uncertain and Untenable Etiology, Diagnosis, and Vaccine 조기호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and Shriners Hospitals for Children Northern California)
[Special lectures IV]
글을 쓴다는 것 Session director 오제혁 (중앙의대)
응급의학과 전문의인 동시에 책을 출판한 작가님들을 초빙하여 글을 쓰는 길을 선택하게 된 계기와 인생경험을 들어보고자 한다.
술 한 잔의 의학 강보승 (한양의대 응급의학과)
6657, 응급의학과입니다 최영환 (베스티안 부천병원 응급의학과)
만약은 없다 남궁인 (이화의대 응급의학과)
[Essentials for emergency medicine III]
Clinical application of NMIT(Nerve Modulating Injection Therapy) Session director 김기운 (순천향의대)
신경조절주사를 이용하여 응급실에 내원하는 다양한 통증 및 자율신경이상 증상을 가진 환자의 증상을 완화, 치료할 수 있다. 이번 세션에서는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 중 신경조절주사를 적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증상, 질환과 실제 적용증례를 알아보고자 한다.
NMIT of head, neck and chest wall pain 오인영 (김포우리병원 응급의학과)
NMIT of shoulder and back pain 김현송 (미래연합의원)
NMIT of SNEP (Sympathetic Nerve Ectrapment Point Injection) 김강호 (소사신통의원)
NMIT of various neurologic pain 이정훈 (동국의대 응급의학과)
Clinical procedure: Back to the basic Session director 김기운 (순천향의대)
심전도, 창상, 탈구에 대한 key knowledge를 선별하여 강의한다.
Basic concepts of EKG interpretation 하철민 (한일병원 응급의학과)
ABC's of acute wound care 민진홍 (충남의대 응급의학과)
Basic concepts of joint dislocation reduction methods 강인구 (순천향의대 응급의학과)
Acute poisoning and CNS Session director 박정수 (충남의대)
급성 중독에 의한 중추신경계 증상은 매우 다양하다. 또한 이런 증상을 나타내는 중독의 경우 중독 물질을 정확하게 추정하기 어렵고 환자의 임상 경과도 중증으로 이행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번 세션에서는 다양한 중추신경계 독성 증상 중 Seizure, Delirium, 그리고 Coma 등 과 EEG와 MRI 등에서 특징적 소견을 보일 수 있는 독성 물질과 치료 방법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Poisoning induced seizure 왕일재 (부산의대 응급의학과)
Poisoning induced delirium 박용진 (조선의대 응급의학과)
Poisoning induced coma and CNS depression 정원준 (충남의대 응급의학과)
Poisoning and EEG, brain MRI 이윤석 (연세원주의대 응급의학과)
Systemic asphyxiants except CO Session director 박정수 (충남의대)
Asphyxia (질식)의 정의는 생체에서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가스 교환이 되지 못해서 산소 결핍에 의한 생명 정지의 절박한 상태, 또는 실제로 정지가 일어난 상태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질식의 원인으로 기계적인 요인 즉 목졸림이나 외상성 질식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 생활환경에서 질식을 발생시킬 수 있는 독성 물질들이 널리 존재해 있다. 그래서 이번 세션에서는 혈액 세포뿐만 아니라 몸 전체의 세포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신 질식제에 대해 종류, 기전 그리고 치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What are systemic asphyxiants? 문정미 (전남의대 응급의학과)
Cyanide and cyanogens 신희준 (순천향의대 응급의학과)
Hydrogen sulfide 우재혁 (가천의대 응급의학과)
Methemoglbin inducing substances 이미진 (경북의대 응급의학과)
응급의학의사가 알아야 할 고압산소치료가 필요한 응급질환 (가이드라인과 임상사례 중심으로) Session director 김현 (연세원주의대)
응급질환 중 primary treatment로 고압산소치료를 실시하는 질환에 대하여 응급의학과 의사는 반드시 숙지하여야 한다. 그런 질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말초 동맥 폐쇄증 김미진 (전주예수병원 혈관외과)
특발성 돌발성 난청 공태훈 (연세원주의대 이비인후과)
일산화탄소 중독 강 수 (인하의대 응급의학과)
뇌 공기색전증 이윤석 (연세원주의대 응급의학과)

(04510) 서울특별시 중구 청파로 464, 101동 3104호 (중림동, 브라운스톤서울)

COPYRIGHT 대한응급의학회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ALL RIGHTS RESERVED.